“여름철 ‘이것’ 잊으면 병원행”…99% 예방하려면 이렇게
관련링크
-
https://ddak1bun.top 0회 연결
-
https://ddak1bun.top 0회 연결
본문
최근 폭염과 집중호우가 이어지면서 식중독 위험이 커진 가운데 살모넬라균 감염을 막기 위해서는 달걀을 올바른 방법으로 보관해야 한다.
국립축산과학원이 달걀 표면에 살모넬라균을 접종한 후 5가지 온도 조건에서 35일간 보관한 결과, 여름철 실내 온도와 유사한 30도에서 보관한 달걀에는 살모넬라균이 많이 남아있었다.
10도와 15도, 20도에서 보관한 달걀은 살모넬라균이 일시적으로 감소했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다시 증가했다.
반면, 냉장 온도인 4도에서 보관한 달걀은 1일 차부터 살모넬라균이 99% 이상 급감했고 35일 후까지 99.9% 이상 생장이 억제됐다.
연구진은 달걀을 4도 이하에서 냉장 보관할 때 살모넬라균 생장이 억제된다는 과학적 근거를 얻었다고 밝혔다.
지난 11일 농촌진흥청은 해당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여름철 안전하게 달걀을 섭취하려면 구매 즉시 냉장고에 보관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강근호 과장은 “특히 기온이 높은 여름철에는 살모넬라 등 식중독균 생장이 활발해진다”며 “달걀은 반드시 냉장 보관하고, 위생적인 조리 습관을 실천해야 한다”라고 강조했다.
기온이 높은 여름철에는 살모넬라균 감염이 증가한다.
식품의약품안전처에 따르면 최근 5년간 살모넬라균에 의한 식중독에 걸린 환자는 7788명이다. 이 중 7~9월 발생 건수가 4542명에 달한다.
살모넬라균은 주로 날달걀이나 덜 익힌 달걀, 달걀을 원료로 한 식품을 통해 감염된다.
여름철 식중독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달걀 조리 시 노른자와 흰자 모두 단단해질 때까지 충분히 익혀서 섭취해야 한다.
또 식재료를 상온에서 보관할 경우 미생물이 쉽게 증식할 수 있는 만큼 신속하게 조리할 필요가 있다.
살모넬라균에 감염되면 경련성 복통, 발열, 구토, 두통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특히 설사가 지속돼 탈수가 생길 수 있다.
살모넬라균 감염증은 대부분 5~7일 후에 자연 회복되나 합병증 위험이 있는 영아나 고령자, 면역저하자는 항생제를 투여해야 한다.
“자꾸 까먹어요”…임영웅 걱정한 ‘청년치매’ 이유 있었다
계획된 아름다움… 유리벽 너머의 ‘에덴’과 마주하다
[오늘의 운세] 2025년 4월 14일
코로나 때 ‘집콕’했더니 충격…‘내 몸의 이것’ 5.5개월 폭삭 늙었다
[오늘의 운세] 2025년 7월 27일
6m3fg8